열번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 사자성어 '열번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열번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 요? 열번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아무리 큰 나무도 여러 번 도끼질하면 넘어가듯이 안 될 것 같던 일도 여러 번 시도하면 결국에는 이루어진다는 뜻. 즉, 노 력하면 안 되는 일이 없다는 뜻. 열번찍어 안넘어가는 나무 없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십벌지목(十伐之木)입니다. - 십벌지목(十伐之木) 열 번 찍어 아니 넘어가는 나무가 없다는 의미. 1. 마부작침(磨斧作針)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말로, 어려운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는 뜻. 2. 마부위침(磨斧爲針)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말로, 어려운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성어속담 2023. 6. 12. 꼴뚜기는 왜 어물전 망신을 시켰을까? '어물전 망신은 꼴뚜기가 시킨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꼴뚜기는 왜 어물전 망신을 시켰을까요? 꼴뚜기는 왜 어물전 망신을 시켰을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어물전에는 생선과 김, 미역 등 바다에서 나는 먹을거리가 풍족하기 때문에 늘 손님들이 북적거립니다. 어물전에서는 맛있는 조기, 갈치, 참돔, 문어, 낙지, 간고등어, 삼치, 오징어 등이 자신의 모습을 뽐내면서 손님들에게 팔리기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한쪽에 이상하게 생긴 생선인 꼴뚜기가 있었습니다. 생긴 것은 낙지나 오징어와 비슷한데 너무나 작아서 먹을 게 별로 없어 보였습니다. 그래서 어물전에 온 손님들은 꼴뚜기를 이리저리 보다가 한쪽으로 치워두었습니다. 손님들이 작고 초라한 모습을 지닌 꼴뚜기를 보고 실망하니 어물전의 다른 생선들은 꼴뚜기 때.. 성어속담 2023. 6. 11. 앞길이 구만리 뜻 '앞길이 구만리'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앞길이 구만리는 어떤 뜻일까요? 앞길이 구만리의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직 나이가 젊어서 앞으로 어떤 큰일이라도 해낼 수 있는 시간과 세월이 충분하는 뜻. (예) 앞길이 구만리니 실망하지 마라. (예) 앞길이 구만리 같은 사람이 부럽다. (예) 앞길이 구만리니 좌절하기는 이르다. (예) 앞길이 구만리 같은 사람이 왜 이렇게 풀이 죽어 있어? '구만리'는 까마득하게 먼 거리를 뜻합니다. 그 거리만큼의 시간을 비유한 말로, 어리거나 젊은 사람들의 경우 앞날이 창창 하다는 것을 뜻합니다. 이 속담은 젊은이들에게 용기를 주고 젊은이들을 응원하는 속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① 전정이 구만리 같다. 나이가 젊어서 앞으로 뜻을 이룰 시간이 많이 남았다는 뜻. ② 앞길이 .. 성어속담 2023. 6. 10.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함 반대되는 한자성어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하는 사람이 많은데요,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함에 반대되는 한자성어는 무엇일까요? 하늘 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함에 반대되는 한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지명자불원천 지기자불원인(知命者不怨天 知己者不怨人)입니다. 한자성어 '지명자불원천 지기자불원인'은 운명을 아는 자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으며, 자기를 아는 지혜를 지닌 사람은 남을 원망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즉 하늘과 남을 원망하지 말라 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옛말에 잘되면 자기 덕이고 잘못되면 남의 탓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자신을 잘 아는 사람은 남도 탓하지 않으며 하늘도 원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요즘 지도자들은 '지명자불원천 지기자불원인'이라는 한자성어를 모르는지 자신의 '부덕의 소치'를 .. 성어속담 2023. 5. 18. 한자성어 고향 떠나는 슬픔 고향을 떠나는 슬픔을 나타내는 한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고향을 떠나는 슬픔을 나타내는 한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망운지정(望雲之情) 자식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부모님을 그리워하는 마음. 2. 망운지회(望雲之懷) 자식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그리훠하는 마음. 3. 분수상별(分袖相別) 서로 소매를 나누고 헤어진다는 말로, 작별의 슬픔을 뜻함. 4. 분수작별(分手作別) 서로 손을 놓고 작별한다는 말로 작별의 슬픔을 뜻함. 5. 척호지정(陟岵之情) 객지에서 고향에 있는 부모님을 그리워하는 마음. 6. 백운고비(白雲孤飛) 멀리 떠나온 자식이 구름을 쳐다보며 그 구름 아래 계실 부모님을 그리워한다는 뜻. 7. 생리사별(生離死別) 살아서는 서로 멀리 떠나 있고 죽어서는 이별한다는 뜻... 성어속담 2023. 4. 6. 삼고초려 유비와 제갈량 삼고초려의 뜻 삼고초려 유래 삼고초려는 유비와 제갈량에 의해 생긴 말인데요, 삼고초려 유비와 제갈량의 관계와 삼고초려의 뜻, 삼고초려 유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갔다는 말로, 인재를 초빙할 때에는 그 예를 다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한문으로는 三顧草廬라고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三 : 석 삼) (顧 : 돌아볼 고) (草 : 풀 초) (廬 : 풀집 려)입니다.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제1대 황제가 되는 유비(161~223년, 재위 221~223년)는 관우와 장비랑 의형제를 맺고 한나라 부흥을 위해 군사를 일으켰지만, 군대를 통솔할 사람이 없어 위나라 추존 황제(무황제)가 되는 조조에게 패해 늘 잠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하루는 유비가 사마휘를 찾아가 사람을 하나 추천해 달라고 부탁하자, 사마휘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성어속담 2023. 4. 4. 창과 방패 사자성어 창과 방패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창과 방패라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창과 방패를 직접직으로 의미하는 사자성어는 없습니다. 그러나 창과 방패를 의미하는 한자어는 있는데요, 바로 '모순'입니다. - 모순(矛盾) 창과 방패라는 말로, 어떤 사실의 앞뒤 또는 두 사실이 이치상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뜻하는 말입니다. 모순(矛盾)은 중국 초나라의 상인이 창과 방패를 팔면서 창은 어떤 방패로도 막지 못하는 창이라 하고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지 못하는 방패라 하여, 앞뒤가 맞지 않은 말을 하였다는 데서 유래된 한자어입니다. '모순'은 한문으로는 '矛盾'으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矛 : 창 모) (盾 : 방패 순)입니다. 1. 모순당착(矛盾撞着) 한 사람의 말이나 .. 성어속담 2023. 4. 2. 이전 1 2 3 4 5 다음